엔트로피와 정보 이론
이 게시글에서는 양자 정보를 배우기 앞서 통계역학적으로 필요한 개념들을 소개한다. 많은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았기 때문에 양자 정보에 대해 어떤 흐름으로 가게 되는지 살펴보는 정도로 알아본다.
This blog has focused on archiving my “broadly spreaded” knowledges.
Note that most of content on the blog are written in Korean.
이 게시글에서는 양자 정보를 배우기 앞서 통계역학적으로 필요한 개념들을 소개한다. 많은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았기 때문에 양자 정보에 대해 어떤 흐름으로 가게 되는지 살펴보는 정도로 알아본다.
앞의 게시글 “순수 상태와 혼합 상태”에서는 pure state와 mixed state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양자 상태를 이루는 Hilbert space가 composite system, 즉 여러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density matrix가 어...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서 대기는 질소(78%), 산소(21%), 아르곤(0.93%), 이산화 탄소(0.04%)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지구의 대기는 인간이 숨을 들이내쉬어 생명활동을 하는 산소로만 이루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양자계에서도 하나의 물질이 아닌 섞여...
시작하는 글 2020년 양자 정보와 양자 컴퓨팅에 대한 개념은 위대한 물리학자 Richard P. Feynman의 논문1, 물리적 현상을 시뮬레이션 하는 경우 양자 세계는 양자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되어야 한다는 획기적인 제안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1990년대부터 2...
경고: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게시글입니다.